반응형
블로그 이미지
> 희망은 인간의 고통을 연장시키는 가장 사악한 것이다 > 죽음에 이르지 않는 고통은 우리를 더욱 강하게 만든다. -니체 integer

카테고리

분류 전체보기 (348)
여행 (45)
신변잡기(身邊雜記) (179)
신변잡기(身邊雜器) (21)
신변잡기(身邊雜技) (63)
신변잡기(身邊雜奇) (39)
Total
Today
Yesterday
<아시아경제뉴스> 에서는 "푸드포르노"로 표현을 하더군.

암튼 정식 CF광고라고 한다. 즐감들 하시기를...



Posted by integer
, |

ESP (VDC) 적용시의 주행



ESP 미적용 차량의 사고 모습

Posted by integer
, |
이번 학기도 올백 이란다.

선생님 얘기론 1학기, 2학기 모두 올백인것은 울 딸 뿐이라는 얘기가 있던데... 고로 전교1등의 조짐이 있다는...
과연 전교1등 아버지가 될 수 있을까? 캬캬캬캬~~


Posted by integer
, |
세차만 하다가 광을 안낸지 4~5년 된것 같아 사놓은 세차용품을 보니 못쓰게 되어버려 새로이 장만한 세차용품이다.

해보고 능력자 소릴 들으면 <직업 세차>의 길로 들어설까 고려해 봐야겠당... 캬캬캬~~

Posted by integer
, |

* 티맥스관리툴 정리

 

티맥스는 X/OPEN DTP 표준을 준수하는 TP-Monitor입니다.

비지니스 로직를 개발자가 작성을 하고, 이를 원할하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용도입니다.

 

다음은 티맥스의 관리툴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았습니다.

기준 버젼은 Tmax 4.X 입니다.

 

1. tmboot: 티맥스를 기동하는 명령으로 전체 노드 또는 특정 서버그룹, 특정 서버를 기동할수 있습니다.

Usage: tmboot [-hbfknow] [-c|g|q|S|s|T|t|A|e|R|V] [-vx]
            -h: show command line help
            -b: boot backup servers also
            -f config_file: use config_fil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instead of the default tmconfig
            -k number: used with -s,-t flag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specifies the number of servers to boot
            -n node_name: boot servers at the node
            -d wait_factor: boot servers gracefully
            -c: boot another CLient Handler(CLH)
            -g svg_name: boot a server group
            -o clopt_string: add a CLOPT string
            -q RQ svg_name: boot RQS
            -S svr_name: boot servers(해당 서버의 전체)
            -s svr_name: boot server(해당서버의 한개)
            -T: boot only the Tmax engine
            -t tms_name: boot tms servers
            -A: boot all AP servers
            -e engine name: boot a engine process
            -R: exec in shell environment
            -V: show version information
            -v/-x: for internal use

 

2. tmdown: 티맥스를 종료하는 명령으로, 전체 노드, 특정 서버그룹 또는 서버를 종료할수 있습니다.

Usage: tmdown [-ahfiknw] [-A|g|q|S|s|t|p]
            -h: show command line help
            -f config_file: use config_fil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instead of the default tmconfig
            -i: down immediately
            -k number: used with -s,-t flag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specifies the number of servers
            -n node_name: tmdown only one node
            -A: down all AP servers
            -g svg_name: down a server group
            -q RQ svg_name: down RQS
            -S svr_name: down servers
            -s svr_name: down servers
            -t tms_name: down tms servers
            -w wait_sec: down after wait_sec seconds
            -p spid: down by server process id

 

3. tmadmin: 티맥스의 관리툴로 설정정보 조회, 서버/서비스/client 정보등의 모니터링과, 동적설정 변경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.

Usage: tmadmin [-hfilnpV] [-m|s]
            -h: show command line help
            -f config_file: use config_fil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instead of the default tmconfig
            -i lic_file: show license file info
            -l: admin local node only
            -n node_name: admin only one node
            -p: display one screenful at a time
            -V: display version info.
            -m: admin with full capability
            -s: admin with monitoring-only capability (default)

 

4. cfl: 티맥스 설정파일(텍스트)을 바이너리로 컴파일하는 명령어(기본적으로 tmconfig 이름으로 생성합니다.)

Usage: cfl [-hnaop] [-v num] -i file_name
            -h: show command line help
            -n node_name: cfl for only one node
            -i file_name: source configuration file
            -a file_name: source configuration file to add
            -o file_name: output configuration file (default = tmconfig)
            -v num: binary configuration file version (default = -v 1)
            -A: deploy ACL file

 

5. gst: 서버/서비스 매핑 테이블 생성 명령어입니다. 생성되는 파일은 c 소스로 $TMAXDIR/svct안에 생성이 됩니다. 이 서비스 테이블은 서버 컴파일시에 참조되어지므로, 서버 컴파일 전에는 반드시 실행하여야 합니다.

Usage: gst [-hf]
            -h: show command line help
            -n node: generate svc table for the specified node
            -v svrname: generate svc table for the specified server
            -f config_file: use config_fil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instead of the default tmconfig

 

6. racd: 여러 노드의 티맥스를 하나의 도메인으로 묶은 경우, 이를 중앙집중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로 stand-alone 프로세스입니다.(티맥스가 관리하지 않는 프로세스입니다.)

Usage: racd [-hfdk]
            -h: show command line help
            -f config_file: use config_fil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instead of the default tmconfig
            -n node_name: set nodename
            -d: debug mode
            -k: passive listen mode
            -i: env_file: use env_file
            -f: label

 

7. uncfl: 바이너리 설정 파일을 다시 텍스트 파일로 생성해 주는 명령어입니다. 사용자의 실수로 텍스트 파일을 지웠을때 설정파일 복구시에 많이 사용합니다.

Usage: uncfl [-h] [-i binary_config] -o text_config
            -h: show command line help
            -i binary_config: binary configuration file (default = tmconfig)
            -o text_config: text configuration file

 

8. tperr: 티맥스 오류 번호 메세지를 조회하는 명령어 입니다.

Usage: tperr [-h] -t type -e errnum [-f filename]
        type : TPE - tperrno type
        type : COM - common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ADM - tmadmin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CAS - CAS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CFL - cfl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CLH - CLH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CLI - client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CLL - CLL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DWN - tmdown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FDL - fdlc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SDL - sdlc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SVR - server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TMD - tmd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TGW - tmax gateway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TMM - TMM error type
        type : TMS - TMS error type

 

9. fdlc: FDL 버퍼 사용시 바이너리 버퍼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 입니다.

fdlc ( -c ) {- a|c|d|u} [-f] [-h 헤더 파일 이름] { -i 필드키 테이블 파일 이름 } [-jc|ji] [-o 결과물 이름] [-u] [-p 패키지 이름] [-x] {-V}

 

10. sdlc: 구조체 버퍼 사용시 바이너리 버퍼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 입니다.

sdlc [-c] [-h 해더 파일 이름] { -i 구조체 파일 이름 } [-o 결과물이름] [-s] [-v VIEW 정의 파일] [-32] {-V}

 

11. mkcli: 클라이언트 생성 명령어 입니다.

Usage :
        mkcli   {-f { @filename | firstfile[,firstfile...]}}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{-o execname}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-l [ @filename | lastfile[,lastfile...]]]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-v] [-C] [(-32)/-64]

 

12. mksvr: 서버 생성 명령어 입니다.

Usage :
        mksvr   {-s { @filename | service[,service...][:func]}}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{-f { @filename | firstfile[,firstfile...]}}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{-o server}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-l [ @filename | lastfile[,lastfile...]]]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-t server_type] [-S sdl_object] [-r rmname]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-v] [-C] [(-32)/-64]

 

13. mkgrp: 티맥스 사용자 그룹 생성 명령어입니다.

Usage: mkgrp [-a|d] -g GroupID -G GroupName
         -a: Add a user
         -d: Delete a user
         -g GroupID: Group ID
         -G GroupName: Group Name
         -h: help

 

14. mkacl: ACL(Access Control List)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.

Usage: mkacl [-a|d] -G GroupName -t AclType -s ServiceName
         -a: Add ACL
         -d: Delete ACL
         -G GroupName: Group Name
         -t [SERVICE]: ACL type
         -s ServiceName: Service Name
         -h: help

 

15. mkpw: 티맥스 사용자 암호 관리 명령어입니다.

Usage: mkpw [-f filename] [-a|d|i|n|p] [-G GroupName] [-u uid]
         -a: Add a user
         -d: Delete a user
         -h: help
         -i: change user Information
         -n: create a New passwd file
         -p: change a Password
         -f filename: specifies a passwd file
         Default is: mkpw -f $TMAXDIR/config/passwd -p
         -G groupname: specifies a group name
         -u uid: specifies a user id

 

16. svcrpt: 서버/서비스 수행결과를 로그에서 조회하는 명령어입니다.

Usage :
        svcrpt  [-T|-N] [-S] [-x] [-s svcname] [-v svrname] [-d mm:dd]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-f hh:mm:ss] [-t hh:mm:ss] [-c num_cols] -i logfile

 

17. tmd: 서버 프로그램 테스트 명령어입니다.  티맥스 서버를 작성 후, 클라이언트가 없는 경우 사용하는 툴로 서비스명/버퍼타입/데이터를 파일로 만들어서 서버를 실행할수 있습니다.

Usage: tmd [-h] [-i infile] [-t sec] [-X] [-T sec] [-s]
            -h: show command line help
            -i infile: use input file
            -t sec: use timeout
            -X: use global transaction
            -T sec: use transaction timeout
            -s: use security check

 

Posted by integer
, |

특정파일을 찾아서 복사할때

find . -name *.txt -exec cp {} ./t \;    

특정파일에서 특정문자찾기

find . -name "*.txt" | xargs grep abcde
Posted by integer
, |


Posted by integer
, |

매년 신차가 나오면 또는 길 가다 맘에 드는 차를 보면 현재 차가 실증이 났음인지 바꾸고 싶어한다.

그랜져TG, 라세티, 윈스톰, 토스카, QM5 등등

각 동호회마다 다니며 정보를 얻지만.. 결국은 아직도 10년차... 누바라2 이다.

2006년 부터 지금까지 노리고 있는 윈스톰 이다. 그 당시 컨셉카 모델명 S3X 라는 이름으로 클럽이 만들어졌었다.
http://www.s3xclub.com



토스카 동호회다. 지금도 잊지못하는 매그너스 의 후속이여서 상당한 관심을 가졌었다.
하지만, 디쟌은 매그너스가 훨 나았던듯... 포스가 매그너스만 못하다.
http://www.clubtosca.net


비슷한 시기에 가입한 (역시)토스카 커뮤니티...
http://www.toscamania.com

내친김에 그랜저TG 에도 관심을 가졌었다.
현기차를 싫어하지만... 그래도 울 나라의 대표 브랜드 아닌가?
http://www.clubtg.com

분수를 알게 된것일까? 2007년에는 현재 차량(누비라2)과 동급인 라세티에도 관심을 가져봤다.
가격이 젤로 만만한.... ㅋㅋㅋ

그외에도 qm5, 라세티 프리미어 등등을 가입해 신차 정보를 얻지만 과연 올해는 바꿀 수 있을런지... 쩝~

Posted by integer
, |
에반게리온 오프닝 실사판이다. 손발이 오그라들어도 책임안진다!


Posted by integer
, |
진정한 남자란 어떠한 유혹에도 넘어가지 않아야 하는 법!
(ㅋㅋㅋ 그런데 좀 심한듯...)


Posted by integer
, |

최근에 달린 댓글

최근에 받은 트랙백

글 보관함